본문 바로가기
수필방

그들의 반란

by 한솔1 2009. 11. 5.

                                     그들의 반란

 

                                                                                                                                                                                                                                                                                                                                                        한

                                                                                                                                    한상목

 

 

                              우리들이 즐겨먹는 사과의 그 까만 씨앗 속에는 독이 들어있다고 한다. 그것도 사람이나

                           동물들에게 아주 치명적이라는 청산 독이다.

                              무엇 때문에 청산이라는 무서운 독을 품게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아마도 부드러운

                           속살은 발라먹고, 씨앗만이라도 습하고 기름진 곳에 뱉어 달라는 그들만의 생존전략이 아닌

                           가 싶다.

                               우리가 과일을 먹고 난후 뱉어낸 씨앗과 껍질은 비닐봉투에 담겨지고, 온갖 잡동사니와

                            함께 쓰레기 하치장 에서 모두 썩어만 가니, 그들이 언제 한번 땅에 떨어져 싹을 틔워 보기

                            나 하겠는가. 그 입장에서 볼 때 이해는 되고도 남는다.

                                과일 중에서도 살구의 씨앗이 가장 많은 독을 품고 있다고 한다.

                                요즘 들어 웰빙이다 혹은 건강식품이다 해서 살구 씨앗들을 모조리 기름을 짜 몸에 바르

                           고, 또한 말리고 재워서 간식거리로 먹어 치우니 종족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독을 품는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이제 부터라도 과일을 먹고 난 후 씨앗만은 자연으로 돌려보내야만 할 것 같다. 만약에 그

                           씨앗들마저 돌려보내지 아니하고 계속해서 먹어 치운다면, 아마도 그들은 지금보다 더 많은

                           독을 품게 될 것이다.

                              땅에 떨어진 씨앗들이 싹을 틔우고 그 싹들이 자라서 열매를 맺게 되면 사람들 손에 접목

                          이 된 나무에서 열리는, 지금 우리들이 먹고 있는 크고 굵은 그런 열매가 열리는 것은 아니다.

                              살구를 먹고 난 후 버려진 씨앗에서 자란 나무가 열매를 맺으면 흔히 말하는 개살구나무

                          가 되고, 복숭아 씨앗에서 자라난 나무는 화사한 꽃을 피우는 개복숭아나무가 되며, 참외 씨

                          앗에서 자란 줄기가 열매를 맺으면 그 또한 개똥참외가 된다.

                             그 이름들 앞에는 항상 개라는 수식어가 따라 붙는다. 사람들 손에 가꾸어지지 않고 버려진

                          씨앗들이 제멋대로 자라서 천하다는 뜻일 것이다. 그렇지만 왠지 낯설지만은 않고 정감이

                          가는 이름들이다.

                             산을 오르다 보면 넓은 바위 끝이나 사람들이 앉아서 쉬어가기 좋은곳의 밑이나 옆에는, 떨

                          어진 씨앗들이 싹을 틔운 개복숭아나무 한두 그루는 어김없이 후미진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냇가나 둑길을 걷다보면 우거진 풀들 사이로 이슬 머금고 샛노랗게 피어난 개똥참외꽃을

                          우리들은 흔히 볼 수 있다.

                             이는 산을 오르거나 둑길을 걷다가 뱉어낸 씨앗들이 땅에 떨어져 자연스레 싹을 틔워 살아남

                          은 것들이다.

                             몇해전 여름 장마가 한창일 때 쯤이었다. 우연히 산을 오르다 개복숭아가 잎사귀 사이에 매달

                          린 것을 보고 호기심에 두어 알 따서 먹어보다 이내 뱉어내고 말았다.

                             어릴 적 생각이 나기도 했었고, 푸르기만 하던 알들이 어느 정도 붉은빛이 감돌아 퍽이나 먹음

                         직스럽게 보였기 때문이었는데, 내가 기억하고 있던 그런 맛은 아니었었다.

                            그들의 열매는 너무나 작고 보잘 것 없을지라도, 잎과 가지는 항상 푸르고 줄기차며, 강한

                         생명력으로 지나는 발길 밑 에서도 뿌리를 내리고 꼿꼿이 살아들 가고 있다. 또한 그 꽃

                         들도 화려함을 잃지않고 있다.

                            이제는 우리가 그들을 지켜줘야 할 때인 것만 같다. 그 씨앗들이 자라서 개살구나무가 되고 개복숭

                         아나무가 되며 개똥참외가 되더라도 그것들은 그들이 그토록 지키고 싶어 하는 본래의 그 모습들

                         일 것이다.

                            비록 작고 보잘 것은 없을지라도......